티스토리 뷰

10월 원달러는 미중 무역협상 1단계 합의 기대로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미중 무역협상에 대한 기대감이 증가하고, 미국의 3분기 성장률과 10월 고용지표가 일제히 예상을 웃돌면서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도 줄어들었다.   

위험자산 선호 심리와 중국 위안화 강세로 인해 10월 원달러는 1199원에 거래를 시작한 이후 1206원에 고점을 기록했고 1159.60원에 저점을 기록한 이후 1163.40원에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미국과 중국의 1단계 무역협상이 마무리 단계에 왔다.미국과 중국의 주요 당국자들도 협상에 진전이 있으며, 1차 협정에 서명할 것이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미국증시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달러는 약세를 보였다


통화정책 관련해서도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추가 금리 인하는 당분간 없을 것이란 신호를 보냈지만, 제롬 파월 의장이 금리 인상도 않겠다고 선을 그으면서 시장의 불안을 차단했다.

영국이 브렉시트 기한을 연장하고 12월 12일 총선을 하기도 했다.영국의 노딜 브렉시트 우려가 줄어들면서 투자심리는 회복되는 모습이다. 


29일 한은 금통위 회의가 있다. 시장에서는 금리 동결을 전망하고 있다. 추가 금리인하 가능성이 나오면 원달러는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원달러가 약세를 지속할 경우 외환당국이 시장개입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 외환보유고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 탄핵 관련 미국의 정치적 불확실성은 미국 증시의 발목을 잡을 것으로 보인다.



국내 금융기관 딜러들은 저점이 낮아질 것으로 전망을 하고 있다. 최저 1140원, 최고 1190원을 전망하고 있다.

단기적으로 1180원에 매도에 나서고 1150원 부근에서는 매수하는 전략이 유리해 보인다.

 



11월에도 원달러 하락이 예상됩니다. 그러나 미중 무역협상에 대한 기대감은 이미 가격에 반영되어 1140원 부근에서 지지력을 확인한 이후에 반등할 것으로 보입니다. 월간 60 이평선이 1135원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중국 위안화 강세는 이미 시장 가격에 반영된 것으로 보이나 미미한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이번달 중국,미국, 유럽의 물가와 고용관련 지수에 관심을 기울어야 한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