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 가격이 하락하고 있다. 금년들어 최저치에 거래된다.금융시장이 혼란하고 불확실 하면 과거 안전자산으로 불리던 금가격은 올라간다.중국과 미국이 피터지게 싸움 박질 하는 가운데에도 금가격은 떨어진다. 위험자산회피 분위기인데 금가격 하락을 이해할수 없다는 반응이다. 기술적 분적(데쓰 크로스 발생}단기 이평선이 장기 이평선 아래로 떨어진 것으로 중기적으로 하락 추세를 의미한다.50일 이평선이 200일 이평선 아래로 떨어졌다. 달러 상승으로 금가격이 하락했다는 분석도 있다.5월중 달러와 금의 역상관계수는 0.88이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0.08이였다. 금을 많이 수입하는 국가는 중국인데 최근 구리 가격 하락을 본다면 중국도 금에 대한 수요가 많이 줄어들었다. 그리고 시장이 불확실할 때 이제 투자자들은 비트코인으..
한국 경제가 기준금리 1% 시대에 들어섰다. 유가하락으로 인해 물가가 오르지 않고 침체하는 경제를 살리기 위해 금리를 인하했다고 한은 총재는 설명을 했고 금리 인하에 2명의 정책위원이 반대표를 던졌다고 한다. 한국은행 총재는 한국 경제가 디플레이션에 진입했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서는 “지나치다”고 일축했다.주변을 살펴보면 뭔가 경제가 삐거덕 거리고 있다. 지표들은 그렇게 나쁘지 않은데 장사가 잘된다는 소리가 들리지 않고 있다. 금리를 인하하면 기업들이 투자를 해서 상품을 만들고 소비자들이 이를 사야한다. 그리고 임금이 올라가고 고용이 증가하는 것이 교과서적인 이론이다. 그러나 돈이 기업과 가계로 흘러가지 않고 돈 놀이를 하는 투기꾼들에게로 흘러들어간다. 부동산에 투자한다던지 주식등 투기자산에 돈이 몰리면..
국내경기가 침체에서 좀처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점심때 인근 식당을 가보면 텅 비워있고 주인만 멍하니 앉아서 TV를 쳐다보고 있다.구정이 다가와도 재래시장에 명절 분위기가 나지 않는다. 돈이 없어 사람들이 제사상에 올릴 음식도 줄이고 있다. 우리는 미국 일자리수가 얼마나 증가하는지,미국 실업률은 얼마인지 잘 알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고용 현황에 대해서는 별다른 관심이 없다. 언론도 마찬가지다, 두리뭉실하게 경기가 안좋으니까 정부가 잘 못하고 있다고 비판만했다. 제대로 된 경제지표 하나 인용을 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상반기 고용호조에 따른 기저효과와 설연휴 이동에 따른 계절적 요인이 겹치면서 1월 취업자 증가폭이 둔화됐다. 통계청은 11일 1월 취업자 수가 전년 동월대비 34만7천명 증가했다고 밝..
'13월 세금폭탄'연말정산 때문에 시민들의 불만이 크다. 다보스포럼에서 화두가 되는 것은 경제 평균화이다. 오바마 대통령도 연두교서에서 경제의 불균형을 시정하자고 말했다. 경기침체로 임금은 올라가지 않는데 안 올라가도 되는 전세값,세금은 아무 생각없이 올라가고 있다. 연말이면 알뜰하게 모은 영수증으로 세금 환급을 받는 재미가 쏠쏠했는데 이제 그 낙도 없다. 연말정산 시즌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13월의 세금 폭탄'이 현실로 돌아오고 있다.'13월의 보너스 '였던 연말정산이 '13월의 세금폭탄'으로 바뀌면서 월급쟁이들의 불만이 올라가고 있다. 그리고 박근혜 대통령의 지지률은 30%대로 하락했다. 새로 바뀐 세법이 적용되면서 연말정산을 통해 지난해가지 더 낸 세금을 돌려받던 직장인들이 올해는 환급액이 줄거..
담배를 끊은지 오래되어 담배가격이 정확하게 얼마인지 모르는데요 .현재 2천 500원 수준 이라고 하네요,새해부터 2000원이 올라 4천 500원이 된다고 합니다. 칼국수 가격이 한 그릇에 4000~5000원 정도 하니까 담배 한갑이 한끼 식사가 되겠읍니다. 그런데 담배값 중에 거의 대부분이 정부 세금입니다. 담배를 많이 팔아준다고 해서 담배 농사를 짓는 농부들이 경사가 나는 것도 아니고 쌈질이나 하는 높은 양반들의 배만 불리게 되는데요. 왜들 그렇게 담배를 피되는 지 모르겠읍니다. 취직이 안돼서 괴롭다고요? 그렇다고 일자리 마련해주지 않는 정부 좋으라고 담배를 마구잡이로 피워되는 가요 ? 없는 돈 날리고, 몸망가지고 좋은 것이 하나도 없는데, 2015년도 담배 '끝'하시는 것이 어떤가요? 담배가격에 개별..
오늘 미국이 추수 감사절입니다. 미국금융시장이 휴장인데요.그것보다도 추수감사절하면 칠면조 요리와 쇼핑이 가장 먼저 떠오릅니다. 블랙플라이데이란 ? 미국의 추수감사절일 매년 11월 넷재 주 목요일 ,오늘 ,다음날인 내일,11월 28일 전후한 할인 행사기간을 말합니다. 연말 쇼핑시즌이 시작되고, 미국의 모든 쇼핑몰과 가게들은 우리들이 상상하지 못할 정도의 디스카운트를 합니다. 해외 직구에 관심이 증가하면서 블랙플라이 데이에 대한 관심이 증폭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왜 이런 행사가 없는지 궁금하네요. 올해 블랙프라이데이 할인을 즐기려면 카트 하나로는 부족할 것 같아요. 비지오의 65인치 TV가 월마트에서 648달러한다네요.오늘 현재 환율 1,100원으로 계산하면 712.800원이네요. 와 진짜 싸네요. 삼성..
요즘 세계 경제가 불안 불안한데요, 유럽 경제 침체 우려와 중국 경제에 둔화에 대한 걱정으로 상품가격이 많이 하락하고 있네요.국내경기도 마찬가지 인것 같아요.세월호 사건 이후 소비심리가 위축되어 사람들이 지갑을 열지 않고 있어 돌아야 하는 돈이 돌지 않습니다.먹고 살기 위해 소규모 자본으로 식당을 개업했지만 손님은 오지 않고 잡상인만 귀찮게 합니다. 은행에 돈을 예금해봐야 쥐꼬리만한 이자로 만족을 할 수 없어 큰 돈을 한번 만져보고자 하는 욕심에 주식시장을 기웃거리고 있으나 주식 시장 상황도 만만치 않습니다. 미국증시는 연일 역사적 고점에 나서고 있고 국내증시는 오르는 듯 하지만 박스권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경기가 안좋아 질 것이라는 막연한 주장들이 투자를 머뭇거리게 합니다. 투자심리가 위축된 가운데 ..
미국 오바마 대통령은 연방 최저임금은 시간당 7.25달러에서 10.10달러가 되어야 한다고 외치고 있습니다. 미국 어느 도시는 시간당 15달러를 목표로 하고 있네요. 시애틀 에드머리 시장은 여러해 걸쳐 단계적으로 시간당 최저임금이 $15달러가 되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우리나라 최저임금의 거의 3배 수준입니다.미국에서 최저임금이 가장 높은 곳은 워싱턴 주로 시간당 9.37달러입니다. 최저임금은 '최저임금법' 따라 근로자를 대표하는 자와 사용자를 대표하는 자는 고시한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고용노동부장관에게 이의를 제기할 수 있습니다. 이의가 없으면 고용노동부장관은 8월 5일까지 최저임금액을 결정하고,'최저임금법'에 따라 다음 연도 1월 1일부터 효력이 발생합니다. 올해 우리나라의 최저 임금은 5210원 ..
장농속에 있는 쳥약통장을 꺼내보면 국민주택규모 아파트라는 말이 나오는데,국민주택규모 아파트는 전용 85제곱미터 이라고 되어있습니다.전용이라는 말이 어색하지요, 전용이란 단어는 대통령 전용기,전용차량, 전용별장 등 귀족들에게 해당 되는 듯한 분위기가 나는데.. 국민주택 규모 아파트라 함은 보통 32평 아파트를 말합니다. 제곱미터로 계산을 하면 115제곱미터, 이것을 공급면적이라고도 합니다.공급면적은 전용면적과 공용면적이 있는데요 .전용이라는 의미는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면 됩니다. 목욕탕,마루,방, 부엌등 가족이 전용으로 사용하는 공간입니다. 예를들어 공급면적이 115제곱 미터라고 하면 전용면적은 보통 85제곱미터 정도가 됩니다.통상적으로 전용면적은 공급면적에 75% 정도가 됩니다. 전용면적 말고 공용면적이..
유가가 지난 4년동안 최저치에 거래되고 있다는 소식이 들리는데 휘발유 가격은 생각보다 많이 떨어지지 않고 있네요, 환율이 올라가서 그런가요? 중국의 지표가 추가 경제 둔화 우려를 증폭시키고 있고 사우디 아라비아가 감산 가능성에 대해 언급을 자제하고 있습니다. 그것보다도 에너지 수출에 의존하고 있는 소련을 겨냥해서 유가 하락에 나섰다는 음모설도 있는데요, 누구의 말이 맞은지 알수 없네요? 미국의 원유재고가 증가 예상과는 달리 감소했지만 쿠싱지역 재고가 큰 폭을 증가한 영향으로 유가는 큰폭으로 하락했습니다.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로 유가 하락이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높습니다.골드만 삭스는 석유수출국기구와 국가들의 증산을 이유로 내년 1분기 서부텍사스산 중질유와 브렌트유 가격 전망치를 모두 15달러씩 하향 ..
- Total
- Today
- Yesterday
- 유가
- 엔화
- 현대차
- 달러/엔
- 미국 고용지수
- 달러
- 금리인하
- 고용지수
- 엔/원
- 한국은행
- 위안화
- 호주달러
- 브라질 레알
- 코스피
- 캐나다달러
- 산업생산
- 유로/달러
- 2015년 전망
- 엔
- 러시아
- 파운드
- 싱가폴 달러
- 유로
- 루블
- 캐나다 달러
- 중국 위안화
- 유럽중앙은행
- 유로/원
- 브라질 레얄화
- 원달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