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미국이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관측으로 달러가 강세를 보이고 신흥국가 통화들이 급락세를 타고 있다. 말레이시아 링기트, 인도네시아 루피아는 아시아 외환위기 수준으로 급락했다. 그리고 남미국가 통화들도 예외는 아니다. 우리나라 투자자들이 브라질 채권을 많이 보유하고 있는데 브라질 헤할화가 사장 최저치에 거래되면서 투자자들은 혹시 브라질이 망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에 밤잠을 설치고 있다.
브라질 신용등급은 투자부적격으로 떨어졌고 여자 대롱령의 인기도 바닥도 떨어졌다.투자자들의 불안을 잠재우기 위해 브라질 중앙은행이 헤알화 추락을 막고자 안간힘을 쓰고 있다. 달러를 매도하고 헤알화를 매입하는 개입에 나서지만 총알만 소비할 뿐 추락하는 환율을 멈추지 못하고 있다.
유가 하락, 원자재 가격 하락, 호세프 정권의 부패 스캔들, 신용등급 강등 영향으로 지난 1년간 헤알화는 70%급락했다. 중국의 수요 둔화로 원자재 가격이 더 떨어질 경우 헤알화 추가 하락이 불가피하다. 외환당국이 개입에 나설 수 밖에 없으나 외환보유가 부족해 딜레마에 빠질 수 있다. 잘 못하면 디폴트를 선언할 가능성도 있다.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러 콜럼버스 데이 부분 휴장으로 보합 (0) | 2015.10.13 |
---|---|
엔화 일본은행의 양적완화 기대 감소로 강세 (0) | 2015.10.08 |
달러 금리 인상 기대감으로 강세 (0) | 2015.09.22 |
달러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로 상승 (0) | 2015.09.21 |
[중국 환율] 중국 환율 더 떨어진다. (0) | 2015.08.26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미국 고용지수
- 엔/원
- 호주달러
- 산업생산
- 루블
- 유가
- 중국 위안화
- 유로/달러
- 엔화
- 캐나다달러
- 유로/원
- 현대차
- 달러
- 유로
- 캐나다 달러
- 고용지수
- 러시아
- 엔
- 유럽중앙은행
- 코스피
- 브라질 레알
- 한국은행
- 위안화
- 달러/엔
- 싱가폴 달러
- 파운드
- 금리인하
- 2015년 전망
- 원달러
- 브라질 레얄화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