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글로벌 달러 약세에 대한 제동이 걸리면서 전일 원달러는 사흘 만에 상승 마감했다.
환율은 1190원을 앞두고는 상단 저항을 받았고 이에 환율은 1180원 중후반대에서 등락을 이어가다 전일비 5.7원 오른 1186.9원에 거래를 마쳤다.
7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서 미국 국채 수익율 곡선 통제 도입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이 담기자 이에 시장은 실망했다.
코스피는 이날 3.66% 급락해 지난 6월15일 이후 최대 일일 낙폭을 기록했다.외국인은 2,756억원 순매도 우위를 보였다.
미국 증시 상승에 안전자산 수요가 줄면서 20일(현지시간) 달러는 소폭 약세를 나타냈다.뉴욕장 후반 달러 지수는 0.24% 하락한 92.764를 나타냈다.
이날 미국 증시에서는 애플,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가 강세를 보이면서 3대 지수가 모두 상승했다.
대형 기술주들이 강세를 보이면서 부진한 고용 지표 영향을 상쇄한 가운데 20일(현지시간) 미국 증시 주요 지수가 모두 상승했고 나스닥지수는 다시 한번 사상 최고치로 마감했다.
뉴욕역외시장에서 원달러 1개월물은 1,185.10원에 최종 호가되었다. 1개월 스왑포인트 -0.10원을 감안하면 1,185.20원으로 전일종가 1,186.90원 대비 1.70원 하락했다.
원달러는 달러 약세와 미국증시 상승 영향으로 하락 압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1180원 초 중반에서 횡보할 전망이다.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율]2020년 8월 25일 원달러 전망 (0) | 2020.08.25 |
---|---|
[환율]2020년 8월 24일 원달러 전망 (0) | 2020.08.24 |
[환율]2020년 8월 20일 원달러 전망 (0) | 2020.08.20 |
[환율]2020년 8월 19일 원달러 전망 (0) | 2020.08.19 |
[환율]2020년 8월 14일 원달러 전망 (0) | 2020.08.14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중국 위안화
- 엔/원
- 유럽중앙은행
- 코스피
- 루블
- 브라질 레얄화
- 엔
- 원달러
- 금리인하
- 파운드
- 브라질 레알
- 유로/원
- 한국은행
- 호주달러
- 캐나다 달러
- 달러
- 러시아
- 유로/달러
- 2015년 전망
- 싱가폴 달러
- 유로
- 캐나다달러
- 미국 고용지수
- 현대차
- 고용지수
- 산업생산
- 위안화
- 유가
- 달러/엔
- 엔화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