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지난 2월 13일 엔/원이 1013원에 마무리 되었다. 딜러지기는 그 때 엔화를 매수하라는 권유를 했다.그러나 4월 3일 998.2원에 저점을 찍고 4월 19일 1053.10원까지 올랐다.결과적으로 볼 때 딜러지기의 전망은 일치했다. 목표가를 1070원으로 정했는데 1050원 부근까지 오르는데 그쳤다. 전반적으로 만족할 만한 전망이라고 평가한다. 4월 22일 현재 엔/원은 1037.50원이다.
그러면 이제 어떻게 해야 하나..
과거에는 북한이 미사일을 쏘면 엔화가 약세를 보였다. 그런데 최근미국의 선제적 공격 발언으로 지정학적 위험이 발생하면서 엔화가 강세를 보이는 모습이다. 북한발 지정학적 리스크가 발생하면 원화는 약세를 보이고 엔화가 강세를 보여 엔/원이 급등하는 양상이 있다.
지정학적 위험을 고려하지 않는 다면 엔화는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 기대로 약세를 보일 경향이 있다.
기술적으로는 엔/원이 1060원 부근에 올때 매도하는 전략이 유리하다.
2015년 6월 886원에서 상승을 시작했던 엔/원은 2016년 6월 27일 1170원 부근에서 상승 대장정을 마무리했다. 이때 형성된 상승 추세선으로 진입하기에는 많은 저항들이 있다. 앞으로 엔/원이 1060원을 시원하게 뚫지 못할 경우 하락으로 돌아설 가능성도 있다. 만약 1060원을 돌파하더라도 그 위에 딱딱한 매물벽이 있어 많은 인내가 필요해 보인다. 결론적으로 1060원 부근에서 단기 매도를 하는 것이 좋아 보인다.
해외투자기관들은 딜러지지 전망과 조금 다르다.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월 원달러 전망 (0) | 2017.05.03 |
---|---|
유로/원 전망-1200원 아래 매수 권장 (0) | 2017.04.23 |
잔인한 4월 원달러 전망 (0) | 2017.04.02 |
[원달러] 원달러 3월 전망 (0) | 2017.03.04 |
엔/원 1000원 부근에서 매수하면 돈 될까요? (0) | 2017.02.13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유로/원
- 달러
- 러시아
- 위안화
- 중국 위안화
- 한국은행
- 산업생산
- 금리인하
- 유로/달러
- 브라질 레얄화
- 코스피
- 엔
- 캐나다 달러
- 미국 고용지수
- 브라질 레알
- 엔화
- 싱가폴 달러
- 원달러
- 엔/원
- 캐나다달러
- 호주달러
- 달러/엔
- 파운드
- 고용지수
- 루블
- 유럽중앙은행
- 현대차
- 유로
- 2015년 전망
- 유가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