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전일 글로벌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로 인해 강세로 출발한 원달러는 위험자산 선호로 인해 약세 마감했다.
원달러는 전일대비 1.60원하락한 1,229.30원에 장을 마감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의 정점이 눈에 들어오지 않고 실물경제 피해 상황은 하나둘씩 확인되는 가운데 국제유가 하락까지 겹치면서 달러는 강세를 보였고, 신흥국 통화 등 위험자산은 약세를 보인 가운데 지난주 거래를 마쳤다.
한국은행은 오는 7일 한-미 통화스왑을 통해 조달한 외화자금에 대한 두 번째 외화대출 경쟁입찰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날 한은은 8일물 15억달러와 84일물 70억달러 등 총 85억달러 규모의 대출을 입찰에 부친다
코스피는 3.85% 상승 하감하였고 외국인은 2,023억원 순매도 우위를 보였다.
뉴욕역외시장에서 원달러 1개월물은 1,223.25원에 최종 호가되었다. 1개월 스왑포인트 -0.80원을 감안하면 1,224.05원으로 전일종가 1,229.30원 대비 5.25원 하락했다.
원달러가 위험자산 선호 현상으로 하락할 전망이다. 실망 매물이 나올 경우 1220원 아래로 밀릴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1120원 아래에서는 저가 매수세가 들어올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율]호주달러 전망, 2020년 4월 9일 원달러 전망 (0) | 2020.04.09 |
---|---|
[환율]2020년 4월 8일 원달러 전망 (0) | 2020.04.08 |
[환율]2020년 4월 6일 원달러 전망 (0) | 2020.04.06 |
[환율]2020년 4월 3일 원달러 전망 (0) | 2020.04.03 |
[환율]2020년 4월 2일 원달러 전망 (0) | 2020.04.02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달러/엔
- 브라질 레알
- 엔/원
- 유럽중앙은행
- 원달러
- 금리인하
- 유로/달러
- 호주달러
- 2015년 전망
- 코스피
- 산업생산
- 루블
- 싱가폴 달러
- 현대차
- 엔
- 브라질 레얄화
- 고용지수
- 달러
- 엔화
- 유로
- 유로/원
- 파운드
- 캐나다 달러
- 위안화
- 중국 위안화
- 러시아
- 한국은행
- 캐나다달러
- 미국 고용지수
- 유가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