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전일 원달러는 미중 무역마찰로 인해 강세를 보였다.
미-중 무역분쟁이 심화하고 한국과 일본 갈등이 부각되면서 달러/원 환율은 전일비 5.7원 상승한 1216.2원에 최종 마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중 무역협상에 대한 강경 발언을 하여 투자심리가 위축되었다.
코스피는 0.23% 상승 마감했고 외국인은 273억원 순매도 우위를 보였다.
글로벌 성장 둔화와 미-중 무역분쟁 장기화 우려에 글로벌 증시가 12일(현지시간) 하락했고 투자자들은 안전자산인 금과 일본 엔화, 채권에 몰렸다.
미국 주식시장은 광범위한 매도세로 하락했다. 미-중 무역전쟁이 침체 우려를 불러온 가운데 지정학적 긴장까지 더해지며 주식 투자자들은 동요했고, 채권시장은 랠리를 보였다.
홍콩의 시위 격화와 마우리시오 마크리 아르헨티나 대통령의 대선 예비선거 패배, 미-중 관세 분쟁 등이 시장을 불안하게 만들면서 미국 증시 3대 지수는 이날 한산한 거래 속에 급격한 하락세를 나타냈다.
뉴욕역외시장에서 원달러 1개월물은 1,217.75원에 최종 호가되었다. 1개월 스왑포인트 -1.00원을 감안하면 1,218.75원으로 전일종가 1,216.20원 대비 2.55원 상승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는 최근 한-일 갈등과 미-중 무역분쟁으로 금융시장 변동성이 커졌으며 이로 인한 환율의 과도한 쏠림이나 변동성이 있을 경우 정부는 언제든지 안정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말했다.
각국의 지정학적 불확실성과 정치적 불안 등이 동시다발적으로 겹치면서 안전자 산 선호 분위기가 고조되었다. 원달러 강세가 전망된다. 1220원 부근에 매도 저항이 강할 것으로 보인다.
금일 달러 매매 전략
미국과 중국 무역협상 불확실성에 홍콩 시위, 이탈리아 정국불안, 아르헨티나 금융시장 불안 등의 요인으로 원달러는 강세를 보일 전망이다. 중국 정부는 홍콩 시위를 테러리즘으로 규정한 가운데 홍콩 바로 옆 중국 도시
선전에는 중국 무장 경찰의 장갑차와 물대포가 대규모로 집결하고 있어 글로벌 지정
학적 우려가 커졌다. 1220원 부근에서는 외환당국의 매도 개입 가능성이 있다.
매도 SIDE
원달러 하락 조정을 마감한 것으로 보인다.매도 목표가를 중립에 둔다.
손절가격: 1,223
매도가격: 1,220
목표가격: 1,213
매수 SIDE
원달러가 제한적인 강세를 보일 전망이다. 매수 목표가격을 중립에 둔다.
목표가격: 1,223
매수가격: 1,217
손절가격: 1,213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율]2019년 8월 16일 원달러 전망 (0) | 2019.08.16 |
---|---|
[환율]2019년 8월 14일 원달러, 호주달러 전망 (0) | 2019.08.14 |
[환율] 2019년 8월 세째주 원달러 전망 (0) | 2019.08.12 |
[환율]2019년 8월 9일 원달러, 캐나다 달러 전망 (0) | 2019.08.09 |
[환율]2019년 8월 8일 원달러, 엔화 전망 (0) | 2019.08.08 |
- Total
- Today
- Yesterday
- 유럽중앙은행
- 달러
- 루블
- 엔화
- 2015년 전망
- 유가
- 중국 위안화
- 파운드
- 한국은행
- 유로/원
- 고용지수
- 코스피
- 미국 고용지수
- 호주달러
- 캐나다달러
- 엔/원
- 현대차
- 싱가폴 달러
- 산업생산
- 달러/엔
- 원달러
- 캐나다 달러
- 브라질 레알
- 엔
- 금리인하
- 유로/달러
- 위안화
- 러시아
- 유로
- 브라질 레얄화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