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달러는 미국 고용지수 부진 영향으로 약세를 보였다.
달러/엔은 전일대비 0.45% 하락한 111.12엔에 거래되었고 유로/달러는 전일대비
0.45% 상승한 1.1231달러에 거래되었다.
미국의 2월 비농업 신규고용이 2만 명(계절조정치) 증가하는 데 그치며 시장에 충격을 줬다. 이는 2017년 9월 이후 가장 적은 수치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예상 18만 명 증가에 턱없이 모자랐다.
다만 2월 실업률은 3.8%로, 1월의 4.0%보다 하락했고, 시장 예상보다 낮았다. 2월 시간당 임금 증가율도 전년 대비 3.4%로 높아졌다.
상무부는 1월 주택착공실적이 전월 대비 18.6% 증가한 123만 채(계절조정치)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WSJ이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 9.5% 증가한 118만 채보다 많았다.
미·중 무역협상에 대한 기대감도 줄어들었다.
폭스비즈니스는 이날 중국 측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3월 말 방미 일정을 취소했다고 보도했다. 시 주석이 4월 말 방미할 가능성도 있지만, 협상이 완결되지 못할 경우 미국 측이 협상을 파기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유럽중앙은행(ECB)이 비둘기파적으로 돌아서면서 달러 대비 21개월래 최저로 추
락했던 유로는 반등에 성공했다.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국 파운드 데드라인 앞두고 강세 (0) | 2019.03.12 |
---|---|
[한국환율]2019년 3월 11일 원달러 전망 (0) | 2019.03.11 |
[한국환율]2019년 3월 8일 원달러 전망 (0) | 2019.03.08 |
[유로환율] 유럽지역으로 여행 갑시다. 유로 매수 시점은 (0) | 2019.03.08 |
[한국환율]2019년 3월 7일 원달러 전망 (0) | 2019.03.07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위안화
- 캐나다 달러
- 캐나다달러
- 중국 위안화
- 미국 고용지수
- 엔/원
- 엔화
- 러시아
- 싱가폴 달러
- 현대차
- 유로
- 유럽중앙은행
- 엔
- 브라질 레얄화
- 원달러
- 호주달러
- 달러
- 브라질 레알
- 유로/원
- 루블
- 한국은행
- 고용지수
- 파운드
- 2015년 전망
- 유로/달러
- 코스피
- 산업생산
- 유가
- 달러/엔
- 금리인하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