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전일 원달러는 강보합 마감했다.원달러는 전일대비 0.20원상승한 1,124.90원에 장을 마감했다.
미국채 10년물 금리 상승으로 달러가 강세를 보였고 북미 정상회담 결렬도 원달러 지지요인이 되었다.
코스피는 미국과 중국 무역햡의 경계감으로 0.22% 하락 마감했고 외국인은 1234억원 순매도 우위를 보였다.
미국과 중국 무역협상 타결이 임박했다는 소식에도 불구하고 약발이 다하면서 미국증시는 약세를 보였고 달러는 강보합권에 머물렀다.
뉴욕타임스는 양국이 최종 합의에 근접했지만, 중국의 불공정 무역관행에 대해서는 큰 진전 없이 '봉합' 수준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고 보도했다.
뉴욕역외시장에서 원달러 1개월물은 1,125.25원에 최종 호가되었다. 1개월 스왑포인트 -1.05원을 감안하면 1,126.30원으로 전일종가 1,124.90원 대비 1.40원 상승했다.
무디스는 전일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다.
무디스는 세계 거시 전망 2019∼2020 보고서에서 우리나라 실질 국내총생산(GDP ) 성장률을 올해 2.1%, 내년 2.2%로 내다봤다.
원달러가 재료 부족속에 1120원 중후반에서 레인지 거래를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1130원 부근에서는 수출업체 매도세가 대기하고 있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협상 낙관에도 불구하고 미국증시는 약세를 보였다. 원달러는 위험자산 회피로 인해 강세를 보일 전망이나 1120원 후반에는 '팔자'주문이 많이 나올 전망이다.
매도 SIDE
원달러는 박스권 상단으로 향하고 있다. 매도 목표가를 상향 조정한다.
손절가격: 1,130
매도가격: 1,128
목표가격: 1,120
매수 SIDE
원달러가 1120원 후반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 매수 목표가를 중립으로 조정한다.
목표가격: 1,128
매수가격: 1,124
손절가격: 1,118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환율]2019년3월 6일 원달러 전망 (0) | 2019.03.06 |
---|---|
[캐나다환율] 캐나다 달러 정치 불안으로 약세 (0) | 2019.03.06 |
[중국 환율] 중국 위안화 강세 주춤할 듯 (0) | 2019.03.05 |
[한국환율] 2019년 3월 4일 원달러 전망 (0) | 2019.03.04 |
[일본환율] 일본 엔 매수 시점은? (0) | 2019.03.04 |
- Total
- Today
- Yesterday
- 캐나다 달러
- 위안화
- 한국은행
- 2015년 전망
- 금리인하
- 산업생산
- 파운드
- 미국 고용지수
- 브라질 레알
- 러시아
- 중국 위안화
- 브라질 레얄화
- 엔화
- 유로/달러
- 달러/엔
- 원달러
- 고용지수
- 유럽중앙은행
- 엔/원
- 유로
- 코스피
- 현대차
- 엔
- 캐나다달러
- 싱가폴 달러
- 달러
- 호주달러
- 루블
- 유가
- 유로/원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