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미국채 수익률 상승에 힘입어 달러/엔이 120엔선을 넘어섰다.아직까지는 추가 상승이 어렵고 박스권을 벗어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의 경제성장 부진이 한파와 항만 판업으로 인한 일회성으로 그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미국의 2015년 국내총생산은 0.2%으로 예상치를 밑돌면서 시장을 실망시켰다.특수한 요인으로 미국 경제성장이 부진하게 나왔다고 평가하면서 2분기에는 3% 성장이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만약 미국 경제성장 부진이 계속된다면 4월 이후 일본 수출에도 역풍이 불 것이다. 그럴 경우 일본은행이 추가 양적완화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올 것이다.
일본은행은 30일 통화정책회의 결과 이후 발표한 반기별 전망 보고서에서 2015 회계연도(2015년 4월~2016년 3월) CPI를 지난 1월 전망보다 0.2% 포인트 낮은 0.8%로 하향 조정했다고 밝혔다. 2016 회계연도 물가상승률은 2.0%로 내다봤다.
일본은행이 기존 자산 매입 규모를 유지하기로 결정한 상황에서 경기 전망을 낮춘것은 추가로 양적완화를 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본은행은 앞서 진행된 통화정책회의에서 기존 자산매입 규모를 유지하고 현 경기 흐름을 지켜보겠다고 밝혔다.
일부 전문가들은 2017 회계연 도 소비세율 추가 인상(8→10%)을 앞두고 미리 부양에 나서 충격을 최소화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빠르면 6월 추가 부양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달러/엔은 미국 금리 인상과 일본의 추가 부양가능성이라는 염색체를 아직 보유하고 있어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그러나 글로벌 증시가 불안할 경우 안전 자산 선호 현상으로 하락할 수 있다.
달러/엔은 3월 10일 고점인 122엔 부근에 저항선이 있고,118.50엔 부근에 저항선이 있다.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착한 FX거래는 무엇인가요? (0) | 2015.05.05 |
---|---|
[브라질 환율]브라질 채권 아직 매수할 때 아닙니다. (0) | 2015.05.03 |
엔/원 870원까지 하락할 가능성.. 일본 수출업체 비상등 켜야 할 듯 (0) | 2015.04.09 |
호주달러 금리 동결이후 강세 기조 유지 ..오래 가지 못한다. (0) | 2015.04.08 |
중국 위안화 강세를 기대하고 위안화 예금을 하는 것은 위험하다. (0) | 2015.03.26 |
- Total
- Today
- Yesterday
- 현대차
- 파운드
- 2015년 전망
- 엔
- 달러/엔
- 위안화
- 유럽중앙은행
- 캐나다 달러
- 산업생산
- 한국은행
- 미국 고용지수
- 금리인하
- 코스피
- 싱가폴 달러
- 캐나다달러
- 엔/원
- 유가
- 루블
- 브라질 레알
- 유로/달러
- 유로
- 달러
- 고용지수
- 원달러
- 중국 위안화
- 브라질 레얄화
- 엔화
- 호주달러
- 유로/원
- 러시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