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캐나다 달러가 0.7% 하락했다.
-캐나다 제조 판매가 0.4% 하락했다.
-유가가 3% 하락했다.
-캐나다 채권 가격이 하락했다.
캐나다 달러가 11일 최고치에서 후퇴했다. 유가가 하락하고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 기조 지속에 대한 영향이다.
이날 공개된 9월 FOMC 의사록에서는 연준의 지속적인 금리 인상에 대한 의지가 재차 확인된 것으로 평가됐다.
의사록에 따르면 대부분 위원은 강한 경제 상황에서 점진적인 추가 금리 인상이 정당하다고 봤다. 또 위원들은 연준이 제약적인 통화정책을 어느 정도 유지해야 하는지를 두고 논의하기도 했다.
일부 위원들은 당분간 혹은 일시적으로 제약적인 통화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경기과열이나 물가 상승 위험이 확인되기 전에는 제약적인 통화정책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는 반론을 편 위원은 두 명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이 여전히 긴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되면서 미 국채금리도 다시 상승세를 탔다.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이날 3.18% 선 위로 상승했다.
다음주 캐나다 중앙은행은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캐나다는 840-850원 구간에서 매수할 기회가 온다. 그 때까지 난 기다린다.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환율] 원달러 1140원 넘어선다. (0) | 2018.10.19 |
---|---|
[영국 환율] 파운드 싼 가격에 살 수 있는 방법 (0) | 2018.10.19 |
[호주달러]호주달러 조금씩 사면 어떨까요? (0) | 2018.10.18 |
[브라질 통화]브라질 레얄 쉬어가자 (0) | 2018.10.18 |
[미국달러] 미국증시 급등으로 달러 혼조 (0) | 2018.10.17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엔
- 중국 위안화
- 파운드
- 유가
- 유럽중앙은행
- 유로/달러
- 루블
- 캐나다달러
- 호주달러
- 원달러
- 러시아
- 금리인하
- 엔화
- 브라질 레얄화
- 싱가폴 달러
- 현대차
- 엔/원
- 유로
- 한국은행
- 위안화
- 고용지수
- 코스피
- 캐나다 달러
- 미국 고용지수
- 산업생산
- 브라질 레알
- 달러/엔
- 달러
- 유로/원
- 2015년 전망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