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달러는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 가능성 약화로 인해 약세를 보였다.달러/엔은 전일대비 0.73% 하락한 107.97엔에 거래되었고 유로/달러는 전일대비 0.99% 상승한 1.15530달러에 거래되었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협상 결과 발표를 앞두고 낙관론이 퍼졌지만, 달러에 큰 영향 을 미치지는 못했다. 오히려 주가와 유가 등 위험자산 랠리 영향으로 달러보다 더 위험한 통화의 강세를 부추겼다.
양국 차관급 협상단은 예정보다 하루 더 연장된 이 날까지 협상을 이어갔다. 미국 측의 테드 매키니 농무부 통상·해외농업 담당 차관은 협상이 "잘 되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연준 12월 회의 의사록에 따르면 몇몇 정책결정자들은 향후 금리 인상에 대해 인내심을 가질 수 있다고 말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몇몇은 12월 금리 인상을 지지하지 않았다.
찰스 에반스 시카고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도 연준이 다음 금리 인상까지 여러 가지를 살펴볼 시간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로는 브렉시트에 대한 기대로 강세를 보였다.15일 오후 7시(현지시각)께 표결을 앞두고 영국 의회가 브렉시트 합의안 토론을 재개한 영향으로 유로는 지지를 받았다.
캐나다 중앙은행이 예상대로 금리를 동결했지만 향후 인상 가능성을 열어둔 영향과 유가 상승으로 캐나다 달러는 상승했다.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러/엔 108엔 부근에서 헤매고 있다. (0) | 2019.01.11 |
---|---|
[한국환율]2019년 1월 11일 원달러 전망 (0) | 2019.01.11 |
[한국환율] 2019년 1월 10일 원달러 전망 (0) | 2019.01.10 |
엔,유로 및 파운드 환율 전망 (0) | 2019.01.09 |
[한국환율]2019년 1월 9일 원달러 전망 (0) | 2019.01.09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유가
- 현대차
- 유로
- 중국 위안화
- 엔/원
- 원달러
- 2015년 전망
- 파운드
- 미국 고용지수
- 브라질 레알
- 러시아
- 엔
- 달러
- 싱가폴 달러
- 한국은행
- 브라질 레얄화
- 코스피
- 엔화
- 위안화
- 유로/달러
- 달러/엔
- 캐나다 달러
- 금리인하
- 호주달러
- 캐나다달러
- 고용지수
- 루블
- 유로/원
- 산업생산
- 유럽중앙은행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