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과 무역협상에 대한 우려로 중국 위안화는 약세.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에 대한 중국 인민은행의 반응
- 3월: 미국 금리인상 이후 인민은행 금리인상
- 6월: 미국 금리인상 이후 현상 유지
- 9월: 미국 금리인상 중국 변화 없을 것으로 전망
미 Fed는 26일(현지시간)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기준금리 인상안을 확정해 발표했다.
미국 중앙은행(Fed)이 또 다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했다. 미 기준금리가 2.0~2.25%로 오르면서 한국과의 금리 차이가 0.75%포인트로 더 벌어졌다.
Fed는 성명에서 “노동 시장이 계속 강화되고 경제 활동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고 인상 이유를 밝혔다.
미국과 중국의 금리차이는 60BP이다 더 줄어들 경우 중국에서 자금 유출이 일어날 수 있다.
현재 중국 위안화는 6.8791위안헤 거래되고 있다.
★ 위안화/원은 는 2017년 3월 이후 최저
- 위안화/원은 160원 부근 지지력 확인한 이후 반등가능
- 위안화/원 160원 아래에서는 매수!!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환율] 중국 위안화 하락 주춤 (0) | 2018.09.28 |
---|---|
터키 리라 소폭 강세 (0) | 2018.09.27 |
[캐나다 환율] 캐나다 달러 무역 협상 우려로 약세 (0) | 2018.09.27 |
뜨거운 관심 통화들의 움직임은? (0) | 2018.09.19 |
[일본환율] 엔화로 돈 벌수 있다. (0) | 2018.09.17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루블
- 유가
- 엔
- 한국은행
- 위안화
- 유로/달러
- 호주달러
- 유로/원
- 브라질 레얄화
- 브라질 레알
- 유럽중앙은행
- 중국 위안화
- 2015년 전망
- 유로
- 현대차
- 고용지수
- 미국 고용지수
- 엔화
- 원달러
- 파운드
- 캐나다달러
- 싱가폴 달러
- 엔/원
- 달러
- 코스피
- 러시아
- 달러/엔
- 금리인하
- 캐나다 달러
- 산업생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